분류 전체보기 (9) 썸네일형 리스트형 강의9 1. OOP (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( Object Oriented Programing )) - 프로그램 내의 모든 사물, 개념, 요소를 객체(object)로 규정하고 - 객체와 객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방식으로 작성한다. 객체란 말 그대로 대상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. 예를 들어, 사람 개인 한명 한명을 모두 객체라 할 수 있고, 책 한권 한권을 객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사람은 생김새와 성격이 똑같을 수는 없기 때문에 개개인을 객체라 할 수 있으며, 책도 내용이 같을지라도 한 권의 책에 흠집을 낸다고 해서 모든 책들이 전부 흠집이 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 권 한 권을 객체라 할 수 있습니다. 2. 클래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같은 속성들을 갖고 있습니다. 여기서 속성이란 눈, 코, .. 강의8 1. 클래스 - 객체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의 역할을 수행하는 클래스 *클래스의 구성요소 - 필드 : 객체의 속성을 표현하기 위한 변수, 메서드에서는 필드에 접근할 수 있다. - 메서드 : 객체의 기능을 표현하기 위한 함수, 메서드 내부에서 별도의 지역변수를 선언할 수도 있다. - 생성자 : 객체를 생성할 때 호출되는 특수한 함수, 오버로딩이 가능하다. 클래스의 이름과 동일한 함수. - 접근 제한자 : 객체 내부 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형식, 외부로부터의 접근가능 여부를 지정한다. 예시) 객체를 만들기 위한 클래스 객체의 속성값을 저장한 변수(멤버 필드) 객체의 기능을 표현하는 함수(멤버 메서드)를 생성한다. - 배열을 이용해 출력이 가능하지만 - 클래스에 의해 객체로 처리가 가능하다. 예시2) 이름과 나이.. 강의7 1. 이차원 배열 -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테이블을 새울때 쓴다 테이블이란 정리할때 쓰는 가로세로의 표를 말한다 예시) - 세로 = i 열 가로 = j 열 - 출력값 문제) 위 예시 1에 있는 1~25의 표를 2, 4번째 줄의 값을 역순으로 정렬 해보았다. 먼저 함수값을 설정한 후 간단히 출력이 가능하다. - 2번째는 이렇게도 가능하다. 3번째는 1, 2번째의 반복성을 파악하고 for문을 통해서 구현해본다. 마지막으로 while for문을 활용하여 좀 더 간결하게 코드를 만들어서 출력할 수 있다. 강의6 1. 메소드 오버로딩(Method Overloading) - 하나의 클래스 내에서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여러개 정의하는 것을 메소드 오버로딩 (Method Overloading)이라 부르며, 간단하게는 오버로딩 (Overloading)이라 부릅니다. 예시1) - Scanner()라는 함수의 이름은 하나인데 매개변수의 자료형에 따라서, 실제로는 3개의 함수가 각각 따로 존재한다. - 매개변수에 넣어주는 인자값의 자료형에 따라 서로 다른 함수를 실행하는 것이다. - 하나의 이름에 여러 함수의 정의가 중복되어 연결된 형식을 함수 오버로딩이라고 한다. 예시2) - 두 정수를 전달 받아서 합계를 반환하는 함수 sum - 세 정수를 전달 받아서 합계를 반환하는 함수 sum - 여러 정수를 전달 받아서 ( int[ .. 강의5 1. String.format 변수의 파일을 순서대로 기록하는방법 * printf에서 ' f ' 는 format(서식) 자바에 존재하는 모든 자료형을 처리할 수 있다 - printf()는 문자열을 서식에 맞춰서 화면에 출력한다 - String.format()은 같은 방법으로 문자열을 만들어서 반환한다 (변수에 저장가능) 2. 서식 제어 문자 제어문자 자료형 %s String 문자열을 표현하는 서식문자 %d 정수 정수를 10진수 형태로 표현 %f 실수 실수를 표현 %c 글자 정수를 코드에 맞는 글자로 표현(char) %x 정수 정수를 16진수 형태로 표현 * 1) % 와 글자 사이에 정수를 넣어서 자리차지할 칸 수를 지정할 수 있다 * 2) 정수는 %02d 와 같이 2자리로 출력하고, 값이 부족하면 0으로.. 강의4 정보능력 1. 자료와 정보의 차이(구별) 자료(Data) - 단순한 사실의 나열 정보(information) - 의미있는 자료(데이터) 정보는 자료를 특정한 목적과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도록 변환한 것이다 지식(knowledge) - 가치 있는 정보 *목적에 따른 활용도에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2. 업무수행 과정에 따른 컴퓨터의 활용 워드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, 파워포인트 이용 등 분류가 필요함 3. 업무보고서 작성(정보의 전략적 기획) - IT기기를 활용한 정보처리 과정 4단계 기획 > 정보(자료)수집 > 관리(정보의 정리)(DB사용) > 활용 4. 5W2H - What 정보의 입수대상을 명확히 한다 - Where 정보의 소스(정보원)를 파악한다 - When 정보의 요구(수집)시점을 고려한다 - Why .. 강의3 1. 문제풀이(while문) - 길이가 정해지지 않은 반복 사용자에게 정수를 입력받아서 합계를 누적시킨다 만약 0을 입력하면 '더 이상 더하지 않겠다' 라는 의미로 생각하여 반복을 중단한다 (사용자가 0을 입력하지 않는동안 )while문 사용 // 1 = 입력된 값을 읽어오는 코드 // 2 = sum += input, sum = sum + input, sum에 input(입력값)을 계속 더한다 // 3 = input이 0 이면은 // 4 = 반복을 멈추기 위해 2. 문제풀이(for문) - 대문자 A부터 Z까지 한줄에 출력하세요 각 글자는 ,로 구분하고 마지막에는 콤마가 없어야 합니다 // 1 = String으로 한이유 ", " 콤마 띄어쓰기가 있어서 // 2 = 띄어쓰기가 없으면 char로 해도 됨 3... 강의2 1. 스텍 - 메모리에 함수가 쌓이는것 CPU에서 Memory로 함수값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쌓이게 되는데 CPU는 하나의 함수만 처리할 수 있다 2. 표준 입출력 *입력 - Keyboard Standard input (표준 입력) > Stdin stream(0) - File input (hdd/ssd) *출력 -Monitor Standard output Stdout stream(1), Stderr stream(2) - File output (hdd/ssd) - 출력값 3. 아스키 코드표 4. 버퍼(buffer)의 정의 - 버퍼란 데이터를 복사/이동할 때 사용하는 일정 메모리 단위를 의미한다. 즉, 데이터 전송할 때 데이터의 전송 속도나 처리 속도의 차이를 완화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억장치이다. 5... 이전 1 2 다음